[Vol.9] 한국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담론

 In KISA Report

한국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담론

심우민 ([email protected])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총무이사

알고리즘 시대의 서막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 활용의 일상화가 점점 가시권에 진입하면서, 그 활용으로 인한 다양한 윤리적, 규범적 사안들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정부 및 공공영역을 주축으로 하는 다양한 입법 정책적 대안들도 제시되고 있으며, 민간 영역에서는 윤리 기준들을 중심으로 하는 담론들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궁극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우리 사회의 혁신과 관련하여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인지, 그리고 다양하게 예견되는 역기능들을 어떻게 방지할 수 있을 것인지 여부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우리사회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담론은 현존하는 규제법제의 핵심이 마치 거대한 수익을 올리는 사업자들의 영업활동을 제약하기 위한 것처럼 오인하고 있거나 또는 그래야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현재 우리 사회의 알고리즘 담론은 균형성을 회복하면서도, 온전한 알고리즘 시대의 진척을 위해 노력하는 데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종국적으로 기계적 판단의 바탕을 이루는 알고리즘의 영향력을 확산시킬 것으로 보인다. 통상적으로 알고리즘(algorithm)이란 주어진 문제를 풀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기술한 것을 의미 한다. 인공지능은 일종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구동되는 것으로서, 이는 데이터를 학습하고 그 결과물을 산출해 내는 알고리즘에 의해 구성된다.

 

인공지능의 사회적 의미는 다양할 수 있겠으나, 기본적으로는 인간의 판단을 기계적 판단으로 대체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다른 표현으로 소위 자동화(automation)라고 할 수 있으며, 최신의 인공지능 수준을 아니더라도 인간은 오랜 시간 동안 판단 및 행위의 자동화를 추구해 왔다는 점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현재 수준에서의 인공지능 담론은 단순 자동화를 넘어서서 인간의 합리적 판단과 유사한 기계적 판단을 기대하는 것이기는 하다. 다만 이 지점에서 인간은 기계적 알고리즘 판단에 상당 부분 의존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은 아주 단순한 수치 계산도 계산기에 의존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이런 의미에서 인공지능의 일상적 활용이 이루어지는 초기라고 할 수 있는 현 단계는 이미 소위 “알고리즘 시대”라고 할 수 있는 상황이다. 즉 인간의 행위와 그 저변의 판단은 알고리즘에 기반이 된 판단이 중심적 지위를 차지하게 된다. 이는 달리 말하여 알고리즘 기반 규제(algorithmic regulation)를 의미하는 것이다. 종국적으로 인간의 행위를 규제 또는 제약하는 것은 알고리즘이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알고리즘 시대는 향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비단 인공지능의 활용뿐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사물 등 존재들이 디지털화하여 연결되는 소위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가 급격하게 진척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전화는 이제까지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급속하게 성장해 온 데이터 집적 기반과 함께, 그러한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이 혁신적이고 비약적인 발전에 터 잡고 있다. 이러한 분석 및 활용 방법은 종국에 알고리즘에 기반을 두고 있고, 이제 도처에서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판단들이 존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알고리즘의 인식론적 논제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판단은 다음과 같은 윤리적 쟁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인식론적 차원에서의 문제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불확정성

인공지능 및 그 알고리즘은 불확정성(indeterminacy)을 가진다.(1) 이는 안정적인 판단 준거 기준 설정 및 확인 상의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인공지능 및 그 알고리즘은 현재의 기술 방식에 따라 보자면 데이터의 학습을 통해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수정해 나가는 속성을 가진다. 그런데 종래 곳곳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기준 자체를 도출하기 어려운 비선형적 속성을 가지고, 다양한 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데이터 자체도 상당히 비체계적이거나 무질서한 현실을 반영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알고리즘도 이러한 속성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또한 데이터 학습을 통해 구성된 알고리즘도 실제 엔지니어의 의도를 넘어서서 새로운 판단 기준들을 정립해 나간다는 측면에서, 때에 따라서는 예견 가능성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2) 이해 불가능성

인공지능 및 그 알고리즘은 이해 불가능성을 가진다. 이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및 알고리즘에 대한 인간의 이해 불가능성을 의미한다. 인류는 그간 상당한 수준의 과학기술 문명을 이룩해 왔지만, 아직 모든 문제 사안에 대한 해답이 있는 것은 아니다. 좀 더 현실적으로 인간은 아직 세상에 대해 아주 미약한 부분만을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곳곳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인간의 방식으로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구성되는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3) 의도적 왜곡 가능성

이상과 같은 불확정성과 이해 불가능성을 넘어서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인간의 의도적인 의미의 왜곡 가능성이다. 즉 현존하는 데이터와 알고리즘은 그 자체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인간의 의도가 개입된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인간이 인위적으로 자신의 의도를 투영하기 위해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생산해 낸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데이터와 이에 대한 학습은 매우 객관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환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의도가 보이지 않게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개입하여, 보이지 않는 판단 기준으로 도처에서 작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는 최근 사회과학적 차원에서 논란이 되는 가짜뉴스(fake news)와 대형 포털 및 SNS의 기사 배열 등이 이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알고리즘의 규범론적 논제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판단이 가지는 윤리적 차원의 문제와 직결되는 규범론적 논제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불법적인 결과 산출

규범론적 관점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것은 알고리즘을 통한 판단이 산출해 내는 불법적인 결과이다. 인간이 개입하지 않은 상황에서 기계적 판단이 산출해 낸 결과가 불법적인 성격을 가지는 경우는 현 단계에서도 쉽게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자동차가 자체적인 판단에 따라 운행하는 과정에서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관점에서 보자면 과실로 인한 경우도 있을 수 있고 고의에 의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기계가 불법적인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고의 및 과실 여부를 판단할 수도 없고, 때에 따라서는 불필요할 수도 있다. 종국적인 판단의 쟁점은 그러한 불법적인 결과 산출에 인간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할 여지가 있었는지가 될 것이다. 궁극적인 책임은 어쨌든 인간에게 귀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2) 산출 결과 영향의 불확정성

데이터와 이에 대한 학습을 통해 구성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불확정성의 문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그러한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된 결과가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인간의 판단 결과가 사회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해졌고, 이로 인한 역기능 발생에 대해 인간은 상당 시간 동안 적절한 대응방안을 구축해 왔다. 그러나 인간 개입이 최소화되고 대규모적이고 매우 빠른 속성을 가지는 기계적 판단 결과로 인한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사회적인 예측 시스템이 완성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영향이 확정될 수 있을 때, 제도적인 관점에서의 대응방안을 마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인과관계 파악의 난관

이제까지 전통적임 법규범은 특정 사안에 관한 인과관계(因果關係) 파악을 핵심 요인으로 하는 체계를 취하고 있었다. 즉 특정인의 판단과 이에 근거한 행위가 다른 주체의 권리 또는 법익을 제약하는 경우에, 그러한 판단과 행위에 대해 법적 제한을 가하는 체계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앞서 언급한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의 구조상 그러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확정하는 데에 한계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특정 데이터들을 학습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자율적으로(인간의 개입 없이) 알고리즘을 수정해 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이 어떠한 데이터를 학습하고 또한 왜 그러한 판단을 하게 되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2)

 

 

상정 가능한 규범적 대응방식의 유형

 

1) 전문가 윤리적 접근

일반적으로 매우 빠른 기술 변화가 존재하거나, 사안의 파악을 위해 매우 전문적인 식견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외부적 규제는 실효성을 가지기 힘든 측면이 있다. 전문가가 아닌 제3자적 지위에서 관련 사안의 정확한 실체적 관계를 파악하기도 힘들거니와 이해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럴 때 활용되는 것이 바로 윤리적인 접근이다. 즉 전문가 집단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전제로 스스로 전문가 통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공지능 연구의 경우 상당히 빠르게 변화를 거듭하는 영역일 뿐만 아니라 매우 전문적인 기술 영역이라고 볼 수 있어, 이러한 윤리적 차원의 접근이 타당한 측면이 있다.

 

이와 관련한 사례 중 하나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7조 등의 국가 생명윤리심의위원회 및 제10조 기관 생명윤리위원회 등의 규정이다. 생명윤리 분야는 인공지능 분야와 마찬가지로 매우 첨단 기술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위험이 매우 전면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전문가 윤리 통제 업무를 수행하는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를 규정하고 있으며, 개별 관련 연구 기관별로 기관생명윤리위원회를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기관 위원회를 별도로 두도록 하는 것은 연구 기관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연구의 수월성을 보장한다는 취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인증체계의 구축

인증체계를 구축하는 방식의 접근은 최근 행정규제에 관한 일종의 흐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즉 인허가 또는 행위 규제 요건 등을 법령상 규정하여 직접 규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발적인 인증 획득을 유도하여 관련 분야 위험 관리 등의 대응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인증체계는 국가 및 공공기관 등이 주축이 되어 운영되는 경우도 있고, 법령상 근거 없이 민간 인증사업자들이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제까지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는 취지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3) 국가 및 공공기관 주축으로 인증체계 및 제도가 운영됐기에 국가 중심적 행정규제로서의 성격이 강한 측면이 있다.

 

일반적으로 주요 국가들의 인증 관련 제도화 동향은 민간 인증사업자들의 인증을 전제로 운영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국가가 특정 인증(예. 개인정보 보호 등) 체계를 법률적으로 규정하는 때도, 관련 인증기관 및 인증업무에 있어 민간 인증사업자들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운영된다. 대표적으로 EU의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인증의 경우에도 민간에서 구성된 인증기준을 승인 및 활용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4))

 

3) 개인적 권리의 설정

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러한 알고리즘을 개발 및 서비스하는 사업자들에게 이용자들에게 알고리즘 구조와 영향을 알려주도록 하고, 이용자들로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전통적으로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있는 법제들이 취하고 있는 보편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인정보를 정보주체로부터 수집, 이용 및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집 목적 등 관련 사항에 관한 정보를 정보 주체에게 제공해 준 연후에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well informed consent). 물론 이러한 권리설정적 접근 방식은 비단 개인정보 보호규제 영역에 한정해서만 논해지는 것은 아니다. 종래 좀 더 포괄적인 이용자의 설명 요청권의 유형은 우리나라의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을 예시로 확인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는 이 부분의 논의가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데, 이는 EU GDPR을 기반으로 한 설명요청권(right to explanation) 담론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설명요청권은 GDPR 프로파일링 관련 조항에 있어 특정 알고리즘이 가지는 로직과 그 영향을 정보 주체에게 알려주어야 한다는 규정 내용으로 비롯된 것이다. 물론 관련 규정 본문에 이에 대해 명확하게 권리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해석 및 추론을 통해 그 권리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이해해 볼 수 있겠다.

 

4) 직접적인 행정 규제 설정

더욱 직접적인 행정규제를 설정하는 방식은 현 단계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다. 그 이유는 아직 인공지능 기술의 기술 방식 중 보편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향후 기술발전의 맥락이 어떠한 방향으로 흐를지도 명확하게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다만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술의 불확정성 또는 블랙박스적 성격에 주목하여, EU의 Civil Law Rules in Robotics에서는 이에 대한 규제방향을 포괄적으로나마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직접적인 행정규제 조항들은 매우 다양한 내용과 수준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인간의 개입 및 관리 가능성을 확보한다는 수준에서 활용 가능한 규정들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서 상당수 발견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동법 제29조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들이 개인정보를 처리할 때에는 개인정보의 분실ㆍ도난ㆍ유출ㆍ위조ㆍ변조 또는 훼손을 방지하고 개인정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기술적ㆍ관리적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세부적으로는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내부관리계획의 수립ㆍ시행, △개인정보에 대한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침입차단시스템 등 접근 통제장치의 설치ㆍ운영, △접속기록의 위조ㆍ변조 방지를 위한 조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저장ㆍ전송할 수 있는 암호화 기술 등을 이용한 보안조치, △백신 소프트웨어의 설치ㆍ운영 등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침해 방지조치, △그 밖에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필요한 보호조치 등과 같은 세부적인 기준들을 나열 및 명시하고 있다.

 

 

법 패러다임 전환 관점의 수용 필요성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 및 활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에 대비하기 위해 상정할 수 있는 다양한 규범적 대응방식은 좀 더 궁극적으로는 과거와 같은 법체계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을 보여주는 측면도 있다. 왜냐하면, 앞서 언급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관한 인식론적 논제와 규범론적 논제를 고려해 본다면, 그 어떠한 대안도 현재 상황에서는 확정적이라고 논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법 패러다임의 전환까지도 고려하는 대응책을 고민해 보아야 한다.

 

법진화론적 측면에서, 근대 초기의 법은 형식적 정의의 실현이라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한다면, 비교적 최근의 다원주의 경향 하에서는 절차법적 정의의 실현이 강조되어 왔다. 형식적 정의 실현 요청은 근대 이전에 실질적 정의를 추구한다는 미명하에 정당화되었던 자의성 및 재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등장했다고 할 수 있다. 형식적 정의에 치중한 나머지 사회의 다원적 가치를 수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발생했고, 그러한 가치들을 수용하기 위해 형식과 실질이라는 가치의 중간지점에서 경쟁하는 가치들이 소통할 수 있는 절차가 강조되게 된 것이다. 근대 자유주의적 법규범은 모두에게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된다는 일반성을 가지며, 이러한 속성은 형식적 정의에 입각한 기준 설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었다. 그러나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절차 그 자체도 일정 부분 형식적 정의로 재차 귀결된다고 볼 수밖에 없다.(5) 즉 법의 일반성이라는 속성이 상당 부분 유지되는 상황에서 강조되는 절차는 사실상 절차에 관한 형식성 강조에 지나지 않는다. 결국, 현재 법의 진화 단계는 형식주의에서 또 다른 실질주의로 진화(변화)하는 과도기적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것이 바로 절차주의라고 칭해지게 된 것이라고 선해해 볼 수도 있다.

 

물론 실질주의로의 법 진화가 근대 이전의 실질주의와 동일한 것은 아니다. 역사적 경험에 근거하여 향후 법의 진화는 과거와는 다른 차원과 방식의 실질주의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인공지능의 활용이 일상화되는 경우 규제 대상과 환경이 매우 유동적으로 변화할 것이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실질적 정의를 매우 빠르게 추구하면서도 과거 형식주의적인 법이 추구하던 가치들까지도 상당부분 보존할 수 있는 새로운 법의 역할이 요청된다.(6)

 

이와 관련하여 언급할 수 있는 것은 노넷과 셀즈닉(Philippe Nonet & Philip Selznick)의 응답적 법(responsive law)에 관한 관념이다.(7) 이들은 법의 진화 단계를 억압적 법(repressive law), 자율적 법(autonomous law), 응답적 법(responsive law)으로 구분한다.(8)

 

‘억압적 법’이란 억압적 권력에의 봉사자로서의 법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법은 원칙적으로 무제한 재량권을 가진 주권자의 명령일 뿐이다. ‘자율적 법’은 억압을 약화하고 사회통합을 보호할 수 있는 분화된 제도로서의 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법의 지배’라고 칭해지는 통치체계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응답적 법’이란 사회적 필요와 기대(aspiration)에 부응하는 촉진제(facilitator)로서의 법을 의미하며, 이는 실용주의적・합목적적 법을 강조하는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9) 자율적 법은 근대사회 이후 발전해 온 전통적·지배적 법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고, 응답적 법은 향후 법적 진화의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이 응답적 법이라는 새로운 법 유형 또는 패러다임을 언급하고 있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법적 추론에 있어 목적의 우위 또는 지배 현상(법형식주의 탈피), 둘째, 법적 권위의 약화(법적 의무 및 공공성 등의 관념 변화), 셋째, 법의 개방성과 융통성 요청에 따른 참여의 증가(법의 정치화), 넷째, 법의 정당성 보다는 역량(실질적 목적달성 가능성)의 중시(재판보다는 행정규제 중심)가 그것이다. 이러한 법패러다임 원인들은 기본적으로 앞서 언급한 인공지능 및 4차 산업혁명과 연관한 법규범적 차원에서의 난점들과 연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노넷과 셀즈닉의 법진화론

물론 이 글에서 응답적 법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모종의 법칙이나 진리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과거 전통적인 법의 속성인 형식성과 이를 근간으로 하는 법치행정의 원리는 상당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근대 자유주의 정립 이후 복지국가 및 조합국가 패러다임의 도입으로 자유주의 법체계의 형식성이 일정부분 약화된 측면이 없지 않지만, 인간의 내면으로 침투해 오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유관 기술들은 그러한 형식성의 약화를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즉 예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상황에서, 빠른 기술 변화와 그로 인한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법 집행기관이 현재보다는 다소 확대된 규제 재량을 보유해야 하고, 그에 다른 법패러다임 전환이 불가피하다.

 

이를 위해 법규범적 측면에서는 당해 법령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이에 대한 구속을 전제로 법 집행기관의 대응 재량을 다소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실제로 다차원적이고 신속한 환경 변화가 전제된 상황에서는, 법치행정 원리에 입각한 전통적인 법적 규제와 같이 모든 규제 요건들을 사전에 법에 명확하게 규정해 두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현대 입법에 있어서는 일반조항과 같은 다소 포괄적인 입법기술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입법 및 행정 편의라기보다는 변화하는 법현실에 대응하기 위한 불가피한 대응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입법 문구(법문)의 명확성보다는 입법 ‘목적’의 명확성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담론전략의 우선성

 

1) 규범적 대응담론의 전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응답적 법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은 인공지능 알고리즘 시대에서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즉 형식적인 법적 대응방식에 관한 요건을 사전에 예측하고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고, 이는 인공지능 기술이 보편화 된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 알고리즘 시대의 입법정책 담론은 단순한 규제 강화나 완화(폐지)를 정답으로서 제시하려는 것이 아니라, 향후 관념적 변화가 어떤 방향으로 진화할 것인지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주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응답적 법 패러다임으로의 진화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입법정책 담론은 규범적 대응이 추구해야 하는 ‘목적’에 관한 합의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세계 주요 국가들은 법적 규제 강화 및 완화에 주력하기보다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관한 윤리적 원칙이나 사회 운영의 원칙을 설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물론 이들 국가에서도 입법적인 대안 모색에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먼저 윤리 기준과 원칙을 정립하고 이에 입각하여 세부적인 입법 대안들을 마련해 나가고자 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10)

 

우리나라도 이와 유사한 정책적 동향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대표적으로 정부부처 및 정부 출연 연구기관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윤리 가이드라인 및 헌장 등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정부의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해커톤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규범적 대응방안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러나 문제는 해외 주요 국가들의 경우 입법적 해결 적이나 규범적 대안을 단기적으로 찾는 데 몰두하지 않고, 담론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기 위한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 참조 사례로서의 유럽연합

이와 관련하여, 가장 좋은 참조 사례로 유럽연합이 있다. 유럽연합의 유럽위원회는 2018년 12월 18일 신뢰 가능한 AI 윤리지침(Ethics Guidelines for Trustworthy AI)을 공표하였다.(11) 지침 안은 인공지능(AI)이 사회에 가져올 긍정적 요소를 최대화하면서도 위험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럽위원회가 창설한 52명의 고위전문가그룹(High-Level Expert Group)으로 이루어진 전문 부회가 정리하였다. 해당 지침안은 내년 1월 18일까지 의견 공모를 거쳐 내용을 수정하고 이해관계자 간 협의를 통해 2019년 4월 8일 최종적인 윤리지침으로 발표하였다.(12)

유럽연합의 신뢰 가능한 AI 프레임워크

[출처: The European Commission’s High-Level Expert Group o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Guidelines for Trustworthy AI, 2019.4.8., 8면.]

해당 지침은 개인과 사회에 엄청난 혜택을 가져다줄 가능성을 지닌 AI는 상당한 위험을 내포하기에 제대로 올바르게 관리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나아가 전반적으로 AI를 통한 이득이 그에 따른 위험보다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AI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인간 중심의 접근 방식’(Human-centric approach)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AI’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3)

 

해당 지침은 3개의 장으로 나누어 신뢰할 수 있는 구조를 규정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AI가 준수하여야 할 기본권, 원칙, 가치를 규정하여 AI의 윤리적 목적(Ethical Purpose)을 보장하고자 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윤리적 목적과 기술적 건전성을 모두 다룰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 지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제3장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AI에 대한 구체적인 영향평가 목록을 제공하여 요구사항이 실제로 준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위 신뢰 가능한 AI 윤리지침과 관련하여 우선 참조해야 하는 사항은 위 지침을 만들기 위해 단순히 전문가들의 의견 제시에 그친 것이 아니라, 다수의 이해관계자로부터의 의견을 공개 수렴하고 또한 그 결과를 공표하고 있다는 점이다. (14)즉 단순히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여 결과를 알리고 형식적인 청문 절차를 거지는 우리와는 사뭇 다른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접근 방식은 유럽연합이나 서구 국가들에 서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대부분의 입법 및 정책 사안들에 관해서는 영향평가(impact assessment)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공개적인 문서화를 통한 의견수렴(consultation)은 필수적인 절차이다.(15)

 

또한, 위와 같은 지침은 확정적인 대안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지침 자체에 지속적인 영향평가 절차(Assessment of Trustworthy AI)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런 맥락에서 2019년 6월 26일부터 영향평가의 시범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은 역시 정량적인 측면에서의 영향평가는 물론이고 의견수렴 과정을 필수적으로 언급하고 있다.(16)

 

담론전략으로서 영향평가 절차의 제도화 필요

 

인공지능 알고리즘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각국은 치열한 고민을 시작하고 점차 그 성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인데, 개별 정부부처들은 물론이고 각 정부출연 연구기관들도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 주요 국가들의 대응방식과 우리의 대응방식에는 다소간에 상이함이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면밀한 영향평가 및 담론형성 절차가 존재하는지 여부라고 할 수 있다.

 

해외 주요 국가들의 경우에는 영향평가 결과를 사회에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더욱 발전적인 대안을 다소 장기적인 관점에서 형성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앞서 살펴본 EU뿐만 아니라 영국, 미국, 일본, 프랑스 등 대부분 국가들은 이러한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현 정부 출범 이후 4차 산업혁명이라는 기치 아래 규제혁신 정책을 추진해 나감과 아울러, 각종 윤리 가이드라인과 헌장을 고민해 왔다. 그러나 다른 국가들과 다른 점이라고 한다면 즉자적인 대안 제시에만 주력해 왔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예를 들어, 4차산업혁명위원회에서는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논의를 거쳐 개인정보 보호법제 등 입법적인 개선방안들을 정부에 제언하였고, 이를 마치 정부의 규제혁신 정책 추진의 성과인 것처럼 홍보하였다. 그러나 이는 궁극적으로 최근 데이터 3법 등에 관한 현실 입법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시민사회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히고 있다. 이는 담론적 합의보다는 이해 당사자 간의 정치적 타협과 그 결과를 중시하는 맥락이 불러온 당연한 결과이다. 실제로 어떤 근거로 4차산업혁명위원회 해커톤에서 그런 결정을 하였는지, 세부적으로 어떤 이해관계 당사자가 어떤 발언을 하였는지 등도 공개되어 있지 않다. 더욱 심각하게는 그러한 대안들에 대해 시민사회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개적이고 공식적인 절차도 없었다. 만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해커톤의 입법적 건의 사항을 그대로 국회에서 의결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둘러싼 갈등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고, 또한 그런 맥락에서 매우 불안정한 규범적 상황은 지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담론적 공감대 형성 절차로서의 영향평가 절차의 제도화가 필수적이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다른 주요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정책 및 법안 등의 검토(영향평가) 절차와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절차(담론적 합의절차)가 형식적으로나마 일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절차는 도출된 정책이나 법규범적 대안을 정당화시키기 위한 부수적인 절차로서의 의미만을 가질 뿐이다. 따라서 장밋빛 미래에 관한 전망을 제시하기에 앞서, 현실적·구체적인 전망과 이에 관 한 사회적 공감대를 구축할 수 있는 담론절차로서의 영향평가 절차를 제도화하는 것이 현재로써는 가장 긴요한 국가적인 규범적 대응방안이다.

본 원고는 KISA Report에서 발췌된 것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kisa.or.kr/public/library/report_List.jsp)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ISA Report에 실린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므로,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KISA Report의 내용은 무단 전재를 금하며, 가공 또는 인용할 경우 반드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Report]라고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 ]

1.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이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문헌으로는 Jack M. Balkin, “The Path of Robotics Law”, California Law Review Circuit 6, 2015이 있다. 물론 볼킨의 논의는 인공신경망 기술의 구조를 전제로 하고 있다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데이터의 결합으로 불확정성이 증대된다는 설명을 하고 있는 특성이 있다.
2. 기술적으로는 인공지능 관련 서비스의 출시에 앞서 엔지니어들은 테스트 또는 실험 과정을 통하여 일부 파라미터 조정 등의 개입을 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인공지능 기술의 논의의 핵심을 그러한 인위적인 개입 자체가 줄어들 것이라는 관념이 전제되어 있는 것이다.
3. 물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의 경우에는 특정 규모 이상 사업자들에게는 법률상 인증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인증체계의 기본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4. EU GDPR 제42조(인증) 및 제58조(권한
5. Roberto Unger, 김정오(역), 󰡔근대사회에서의 법󰡕(삼영사, 1994), 252면.
6. Roberto Unger, 위의 책, 281-286면.
7. 노넷-셀즈닉의 법진화론에 관한 설명으로는 양건, 󰡔법사회학󰡕(아르케, 2004), 237-242면; 양천수, 앞의 논문, 177-179면 참조.
8. Philippe Nonet & Philip Selznick, Law and Society in Transition: Toward Responsive Law(Harper & Row, 1978). 이 책의 국문 번역본은 정동호·신영호(역), 󰡔법과 사회변동󰡕(나남, 1986)이 있다.
9. 이에 관한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는 심우민, “인공지능과 법패러다임 변화 가능성: 입법 실무 거버넌스에 대한 영향과 대응 과제를 중심으로”, 「법과 사회」 제56호, 2017 참조.
10. 이러한 견지에서 주목할 만한 문헌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The European Commission’s High-Level Expert Group o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Guidelines for Trustworthy AI, 2019.4.8; Guidance: UK Department for Digital, Culture, Media & Sport, Data Ethics Framework, 2018.8.30; CNIL, The ethical matters raised by algorith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ow can humans keep the upper hand?, 2018.5 등.
11. The European Commission’s High-Level Expert Group on Artificial Intelligence, Draft Ethics Guidelines for Trustworthy AI, Brussels, 2018.12.18.
12. The European Commission’s High-Level Expert Group o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Guidelines for Trustworthy AI, 2019.4.8
13. 인공지능 기술이 현재 상황에서는 초기 단계라는 것을 감안하여 개발 단계에서의 윤리적이거나 규범적인 기준을 강조하는 것은 또한 주요 국가들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OSTP, The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ic Plan, 2016; 総務省 情報通信政策研究所 調査研究部,『AI開発ガイドライン, 2016 등 참조.
14. 실제 유럽연합은 위 지침의 초안을 발표한 이후 500여 건의 의견을 접수하였고, 그 세부 내용과 이에 대한 피드백 사항들을 문서화하여 공개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https://europa.eu/!cJ43wn 사이트를 참조할 것.
15. 이에 대해서는 심우민 외,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과학기술 법체계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8)를 참조할 것.
16. https://europa.eu/!bC37vJ 참조.
Recent Posts
Contact Us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주세요.

Not readable? Change text. captcha txt